#[조선일보] "6평 원룸서 나온 생활쓰레기 3.2t… 그들은 어쩌다 ‘쓰레기 산’을 만들었나"

[아무튼, 주말] 저장강박 앓는 2030세대?
특수청소 출동해보니


지난 15일 오전, 강원도 소도시의 한 원룸. 특수 청소 의뢰를 받고 찾아간 집은 문이 반쯤 열리다가 멈춰섰다. 내부에 쌓인 쓰레기 뭉치에 걸린 탓. 몸에 힘을 주어 다시 한번 밀자 그제야 현관문이 열렸다. 20대 남성이 혼자 산다는 원룸은 그야말로 쓰레기 산. 신발장을 제외한 모든 공간에 각종 배달 음식 상자와 페트병, 캔과 비닐봉지, 누렇게 변색된 옷들이 쌓이거나 나뒹굴고 있었다. 이날 6평(19.83㎡) 남짓한 원룸 한 칸에서 나온 쓰레기는 약 3.2t.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80L짜리 김장 봉투 10개, 50L짜리 일반 쓰레기 봉투 11개와 100L짜리 14개가 분리 배출장에 쌓였다.

 지난 15일 강원도 소도시의 6평 규모 원룸에서 특수청소업체 ‘에버그린’ 박정완(33) 팀장과 본지 구아모 기자가 20대 남성의 생활 공간을 함께 청소했다. 종이 박스를 분리해 ‘쓰레기 산’의 부피를 줄이는 작업부터 오물 닦아내고 소독하기까지 무려 6시간이 걸렸다. /이건송 영상미디어 기자



독거노인의 고독사 현장, 화재 발생 현장 등이 주무대였던 특수청소 업체들이 요즘 2030 젊은 층들이 사는 ‘쓰레기 집’으로 출동하고 있다.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저장 강박’에 시달리거나, 우울증으로 무기력해져 쓰레기를 방치하는 청년, 바빠서 청소할 짬이 없다는 전문직까지 청소 업체를 부르는 경우도 다양하다.

매일 30분만 투자하면 깨끗해질 집을 쓰레기 더미로 만드는 이유가 뭘까. 15일 오전 10시 30분부터 특수청소 업체 ‘에버그린’ 직원 두 명과 함께 쓰레기집 청소에 도전해봤다.

주 고객은 2030 젊은 층

30대 남성과 50대 여성으로 구성된 특수청소 업체 직원들은 원룸에 들어서자마자 문을 굳게 잠갔다. 이웃들 눈에 띄지 않기 위해서다. 작업은 사람들이 출근해 집을 비운 낮 시간대에 진행한다. 아예 새벽 시간대에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청소 업체 작업복도 입지 않는다. 청소하러 왔다는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서다. t(톤) 단위 쓰레기가 나오지만 쓰레기 차는 따로 부르지 않는다. 대신 종량제 봉투에 처리한다.

주인 없는 집에선 시큼하고도 퀴퀴한 냄새가 먼저 이방인들을 맞았다. 오래된 배달 음식 상자에 찌든 기름내, 치킨 무와 양념이 뿜어내는 쉰 냄새, 담배 냄새가 섞여 있었다. 책상엔 위스키 병, 먹다 만 맥주 캔, 종이 컵 안을 꽉 채운 담배꽁초가 놓여 있었다. 베란다도 예외가 아니었다. 허리춤까지 오는 높이로 배달 음식 박스와 페트병이 뒤엉켜 있었다. 날파리와 나방이 날아다녔다.

노인들이 혼자 사는 ‘쓰레기 집’에는 주로 고물상에 내다 팔기 위한 소형 철물 등 잡동사니들이 쌓여 있다면, 2030들의 집은 밖에 내다버리지 않은 생활 쓰레기들이 주를 이룬다. 배달 업체에서 주문한 상자들이 특히 많다. ‘에버그린’ 김현섭 대표는 “음식·생활 쓰레기 등을 처리하지 않고 쌓아두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보통 1인 가구 중심의 원룸·오피스텔에서 의뢰가 많이 들어온다”고 했다. 주 고객도 2030 청년들로, 매주 평균 6건의 의뢰가 들어온다고 했다.

의뢰는 다양한 경로로 들어온다. 본인이 직접 의뢰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랜만에 원룸을 방문한 가족들이 방 상태를 목격하고 놀라 업체에 의뢰하는 경우도 있다. 집 안 상태가 외부에 발각돼 건물 관리인이나 임대인이 의뢰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방의 유일한 ‘안전지대’는 주인이 잠자리로 사용하는 듯한 매트리스. 그마저도 곰팡이가 피어 있었다. 화장실 세면대와 양변기는 누렇게 변색됐고 검게 오염된 가루들이 곳곳에 떨어져 있었다. 직원들은 플라스틱 삽으로 부피가 큰 쓰레기를 한쪽으로 몰아서 일명 ‘오솔길’부터 텄다. “화장실에 오물이 넘치지 않아서, 그나마도 비교적 쉬운 청소 현장”이라고 했다.

마침내, 드러난 바닥

가장 먼저 할 일은 ‘쓰레기 산’의 부피를 줄이는 작업. 종이 박스와 페트병같이 부피가 큰 쓰레기들부터 한데 모은다.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은 80L짜리 김장용 봉투에 차곡차곡 담는다. 오전 11시 44분이 되자, 종이박스를 담은 쓰레기 5묶음, 페트병을 분류한 쓰레기가 3묶음 나왔고, 마침내 방바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청소하는 동안 무선 이어폰, 스피커, 보조 배터리, 표창장, 업무 수첩, 보습 크림, 키보드, 헤드폰 등 멀쩡한 물건들도 발견됐다. 달리기 운동을 할 때 휴대폰을 팔에 착용하는 장비도 있었다. 값이 나가거나, 제 기능을 하는 물건들은 봉투에 담아 침대 한쪽에 올려뒀다.

다음은 베란다 청소. 문을 열자 피자와 치킨을 담았던 배달 상자들이 방 안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한 상자에서 곰팡이가 핀 치킨 뼈다귀가 튀어나왔다. 양념이 상자에 엉겨붙어 도저히 재활용할 수 없는 상자들도 속출했다. 스티로폼 박스엔 갈색으로 말라비틀어진 딸기 꼭지가 보였다. 박스 포장지는 쓰레기의 ‘연식’도 가늠하게 해준다. 한 치킨 상자엔 1년 전 이맘때 광고했던 모델이 활짝 웃고 있었다.

오후 1시 40분. 바닥에 남아 있는 잔쓰레기들을 쓸어 담았다. 삽으로 50L짜리, 100L짜리 봉투에 쓰레기들을 퍼 담았다. 이때 귀중품들이 쓸려 들어가지 않게 체크해야 한다. 오후 2시부터는 바닥 닦기. 쓰레기 더미가 사라진 방바닥에 엉겨붙은 오물과 얼룩들을 지우고 닦아내는 작업이다. 먼저 세정액을 방바닥과 화장실에 분사한 뒤 오물들이 녹아내리길 1시간가량 기다린다. 작은 벌레들 탓인지 팔에 울긋불긋 두드러기 증세가 생겼다.

쓰레기와 헤어질 결심?

쓰레기를 쌓아두고 사는 이유는 뭘까. 학창 시절 집단 따돌림, 가정 폭력으로 트라우마에 시달렸다는 30대 여성 김모씨는 “2019년부터 우울증이 심각해져서 누워만 있다가 쓰레기가 쌓이고 급기야 저장 강박까지 걸렸다”며 “다른 집에서 내다 버린 소형 가전과 책들을 닥치는 대로 주워 모았다”고 했다. 청소 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수치스러웠다는 김씨는 지난해 용기를 내 “이 집의 바닥을 보겠다는 마음으로” 청소 작업을 진행했고, 그 내용을 소셜미디어(SNS)에 공유했다.

15일 원룸 청소 작업을 함께 진행한 에버그린 박정완(33) 팀장은 자신이 청소를 진행한 대다수의 고객들은 20~30대 여성이었다며 “무기력함과 우울감에 쓰레기를 내다 버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유명 아이돌의 굿즈나 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그려진 인형, 로드숍 화장품 등 특정 물건들이 무더기로 나올 만큼 애착을 보이는 경우도 많았다”고 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쓰레기 집의 바탕엔 기본적으로 불안 심리가 깔려 있다”며 “혹여라도 꼭 필요한 물건을 버리면 어떻게 하느냐는 불안감에 문제를 회피하고 미루다가 ‘쓰레기 집’이라는 상황까지 치닫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20대 여성의 원룸을 청소한 가사 도우미 박모(64)씨는 “20·30대 의뢰인의 집엔 버릴 물건과 계속 사용할 물건이 구분이 안 된 채로 뒤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박씨가 긴급 호출을 받고 찾아간 원룸엔 침대와 옷장을 제외한 모든 곳에 쓰레기가 깔려 있었다. 침대 옆에는 음식쓰레기가, 식탁 밑에는 양말과 속옷, 옷가지가 뒤엉켜 있었다. 박씨는 “함부로 물건을 버릴 수도 없어 의뢰인에게 전화를 걸어 하나하나 상의해가며 작업을 진행해야 했다”고 말했다. ”무엇이 필요하고 불필요한지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는 젊은이들도 많아 애를 먹는 경우도 많았다”고 했다.

한국정리수납협동조합 김연희 이사장은 “좋은 학교, 좋은 회사에 들어가기 위한 교육은 받았지만, 일상의 삶을 가꿔나가는 교육은 받지 못한 상태에서 ‘정리’는 언제든 미룰 수 있는 일이 된 것”이라며, “필요한 물건과 불필요한 물건을 선별하는 삶의 기술로서 ‘정리 방법’을 배우고 습관화하지 않으면 같은 문제가 반복된다”고 말했다.

오후 3시. 세정제로 녹여낸 오물들을 대걸레로 닦아내는 작업으로 청소는 막바지에 이르렀다. 벌레알과 사체들엔 약품 처리도 했다. 소독약 탓인지 작업자들 눈이 빨갛게 충혈됐다.

오후 4시 30분. 의뢰인에게 청소 상태를 찍어 문자로 보냈다. ‘감사하다’는 답장과 함께 6시간의 대청소가 끝났다. 평수와 쓰레기 양, 후처리 작업 요소 등에 따라 비용은 다르지만, 최소 100만원이 든다. 이 비싼 청소로 집주인들은 ‘쓰레기 집’과 영영 결별할까. “몇 달만 지나면 똑같아져요. 재차 의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봐야죠.”



구아모 기자 amo@chosun.com



Copyright ⓒ 조선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2022 특수청소에버그린 All rights reserved.